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필리버스터 종결 1. 난 필리버스터가 끝이 정해진 쇼라는 말에 동의 할 수 없고 그 비판이 무척 정치적 감각과 사고가 결여된 손 쉬운 비판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필리버스터는 결말이 닫혀있는 판은 맞다. 아주 작은 틈이 있지만 문을 여는 과정은 여러 내, 와생 변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그 변수의 가능성도 이 판 안에 있다. 물론 열릴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걸 이해하고 가야한다. 2. 질서 있는 퇴각은 의외로 곤조와 가오를 필요로 한다. 불안과 같은 심리를 절제하고 고도의 정치적, 전략적 수를 필요로 한다. 닫힌 문을 열기 힘들다면 잘 퇴각 해야하는데 이 당은 철수에서 가오도 곤조도 없다. 전선과 사령부의 유기성은 붕괴해서 철수와 교전 명령이 전달 체계 내에 혼재했다. 3. 이 퇴각은 실패한 퇴각이다. 선거도 필리버스터도.. 더보기
귀향(2016) 귀향(2016): 올바름의 문제... 대개 영화나 문학 등에 대해 리뷰를 쓸때는 매력적 잉여라는 카테고리에 글을 올린다. 하지만 영화 귀향에 대한 글은 대개 평론적, 분석적 글을 쓰려고 애쓰는 대뇌피질의 낭비라는 카테고리 써본다. 이것은 이 영화가 처해있는 어떤 심각한 문제에 대한 내 나름의 비평이다. 사실 영화를 보기 이전부터 걱정이었다. 영화 내적인 부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없이 영화의 주제와 소재를 근거로 한 구별짓기가 이미 작동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http://m.media.daum.net/m/entertain/newsview/20160222185807611 같은 글을 대표적인 사례라 들 수 있다.) 영화의 주제가 실제 우리 역사의 가장 비극적인 지점이기에 그것이 가진 민감성과 소구력이 존재했.. 더보기
데드풀(2016) 데드풀(2016) 데드풀은 여러모로 센세이션한 영화다. 영화의 오프닝에서 감독은 영화 제작에 참여한 이들을 의도적으로 저속한 말들로 희화화 한다. 후원자는 호구, 감독은 초짜 뭐 이런 식이다. 심지어 그 배경은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영화 내 액션신이고 온갖 잔인함이 노골적으로 하지만 거부감이 들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영화의 오프닝은 이 영화의 모든것을 다 보여준다. B급 미학과 유머코드, 적당히 노골적인 잔인함과 폭력은 영화를 지배하는 정서 전체라 할 수 있다. 데드풀이 흥미로운건 이것이 전형적인 슈퍼 히어로물로 부터 벗어난 작품이란 것이다. 주인공은 마치 정신분열증 내지 2중 인격 처럼 수다와 잔인함, 애잔함을 오가는 엄청난 감정 진폭을 보이며, 사적 복수를 그만두고 능력을 뜻 있게 사용하라는 X맨.. 더보기
동주(2016) 동주(2016) 어느 자리 잃은 자의 죽음 (스포일러 억수 많음) 대학원 동학들과의 오랜만의 회합을 마치고 홀로 극장으로 걸어가 이준익의 를 보았다. 생각보다 스크린 앞에 많은 이들이 차있어 묘한 기대감이 돌았다. 마치 2월 초 을 처음 보던 당시 생각 이상으로 가득찬 상영관을 마주했을때의 그 묘한 기대감 같은 것이었다. 영화는 전반적으로 매우 담담하고 담백하다. 이준익 감독은 화려한 연출이나 기교, 비주얼 보다는 좀 더 담백하고 생명력 있는 시각으로 시공간과 사람을 만들어냈다. 사실 영화의 백미는 연기와 이야기일 것이다. 특히 영화가 실존 인물의 전기영화이기에 그 원 인물에 대한 해석과 그의 삶을 어떻게 해석하여 서사를 뽑아낼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지점이다. 허나 불행히도 시인은 너무나도 현세에서의 시.. 더보기
항장무검 의재패공 항장이 검무를 춘 이유는 패공에 았다. 참으로 적절한 비유다. 홍문에서 범증은 항장을 시켜 패공을 노리지만 이를 간파한 항백과 장량의 기지와 번쾌의 담용에 패공은 살아 패상의 군영으로 가고 항우는 자신의 '선량함'에 절호의 기회를 잃고 패한다. 왕이가 항장무검 의재패공의 고사는 언듯 보면 상황만을 그린 고사 같지만 내 눈에는 더 먼 그림을 보여준다. 한국에게 항장과 항백의 길을 보여준것 아닐까. 항백은 항량의 동생이고 우의 숙부지만 장량, 패공과 맺은 연을 지켜 패공을 살려주고 그를 한왕에 봉해 천하를 다시 도모할 기회를 준다. 결국 항백은 통일 후 제후가 되고 유씨 성을 사성 받지만 홍문의 연에서 함께 검무를 춘 항장은 항우의 몰락과 함께 역사에서 사라져버린다. 더보기
검정치마 Everything 넌 내 모든 거야 내 여름이고 내 꿈이야 넌 내 모든 거야나 있는 그대로 받아 줄게요29일 바로 지금 공개된 검정치마 싱글. 이 앞의 싱글 Hollywood와 같이 들으면 묘하게 비교된다. Hollywood가 뭐랄까 절정과 최고조 그리고 그것이 만드는 붕괴 내지 절정 이후의 두려움, 절정대한 선망 같은 느낌이라면 Everything은 원숙한 낭만주의자를 위한 노래 같다. 마치 2집에서 Love Shine과 International Love 같은 관계랄까...참고로 2집에서 사람들이 전자를 선호하는데 난 International Love를 더 좋아한다. 그래서일까 Hollywood 보단 이 곡이 더 좋다.여튼 화려하지 않고 담담하다. 온 세계에 '너'가 편재해있고 '너'로 새계의 의미가 환원되는 듯한 느낌.. 더보기
레버넌트-죽음에서 돌아온 자 레버넌트-죽음에서 돌아온 자 들어가며 영화를 보고 내 멋대로 리뷰를 쓰겠노라 하고 배역들의 이름을 확인하러 갔다가 놀라운 사실을 알았다. 의 감독이 바로 의 감독이었다.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다. 은 비슷한 시기에 나온 와 묘하게 조응되는 지점이 있었다. 뭐랄까 인정? 삶의 의미? 등에 대해 와 은 묘하게 이어지는 느낌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개봉한 는 최근에 개봉한 과 조응하는 느낌이다. 둘이 소재적으로 미국의 서진 시기, 백인과 인디언, 흑백같은 인종의 문제, 눈 덮인 겨울이란 계절의 공통점 등 많은 부분 서로 간에 겹치는 지점이 있어 보인다. 한편 영화 정보와 주변의 이야길 들어 볼때 의 이야기는 의 극장과 같이 좁은 공간 배경에서 펼쳐지고 는 훨씬 거대한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도 있지.. 더보기
정치적 후속세대 양성 문제 친우 하이네의 글. 전현직 학생회장들의 정치 활동에 대한 글.며칠전 경희대 김윤철 교수님이 경향신문에 더민주당의 명사 영입에 대한 칼럼을 쓰셨었다. 강고한 대중 당원 조직에 근간을 둔 대중 당원론자를 자처하는 처지에서 기성의 명사-보수 양당 질서에도 신물이 나는데 영입되는 이들이 '대표성'보다는 정치공학적 손익에 기대었다는 인상에 그 영입 행렬이 영 마음에 안들었다.새삼 생각해본다. 과거 노르웨이 우토야 섬에서 총기난사 사건이 있었던 청소년 캠프는 바로 노르웨이 노동당의 청소년 캠프였다. 이 글을 읽는 동안 메르켈이나 쉬뢰더와 같이 대학생 시절 부터 독일의 SPD나 CDU에서 커리어를 쌓아 총리가 된 이들이 생각 난다.과거 오마이뉴스에 적은 졸문에서 우리 정당의 쇄신이 구조나 체계, 노선의 변화가 아니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