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 2015.8.22 정기에게 받은. 더보기 2015년 8월 21일~22일 1. 위로공단을 봤다. 기대를 너무해서인가? 다큐멘터리적 의미와 별개로 이상하게 졸립고 나른하다.어지간히 재미없는 영화나 다큐멘터리도 졸지 않는데... 2. 시간을 먹고 유지되는 관계가 있고 서로의 접점의 넓이도 지탱되는 관계가 있다. 요즘 나날이 대학 동기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벅차다는 생각을 자주한다. 예전부터 그랬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더욱 그렇다. 일상적 대화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이들도 많고 있어서 위화감만 든다. 그에 비해 오늘 만난 소라나 며칠전의 영화, 수연이 등은 시간의 길이에 비해 내가 참 많은 맘을 주고 받는것 같다. 3. 오늘 서울에서 온 소라를 봤다. 대개 내가 서울로 가서 만나는 사람들이 많은 내게 서울에서 온 손님이란건 참 유달리 반갑다. 서로 인생 사는 이야기들 하는데 참 내가.. 더보기 2015년 8월 20일.일기 2015년 8월 20일.일기 1. 기억을 먹고 사는 동물의 속성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자기의 존재가 하늘의 별 처럼 반짝반작 거리던 시절이 있었는데, 영원히 그런 경험의 재래가 없을것이라 불안한 이들이다. 문제는 그 기억을 죽은 자식 거기 만지듯이 먹고 살수록 삶이 정체되고 하강한다는 것 아니겠나.... 2. 감정들 마다 어덯게 묘한 비슷한 현상들이 있는것 같다. 우울과 대치되는 현상이 뭐냐 묻거든 사막의 유사라 답할것 같다. 우울에서 빠져 나오려 몸부림 칠수록 더 깊은 곳으로 더 깊은 곳으로 더 깊은 곳으로 자아가 침강해간다는 것이다. 차라리 힘 빼고 바닥을 기다린다면 생각보다 한방에 치고 올라갈지도 모르는데...문제는 바닥이 있는지에 대한 불안과 결정적으로 그게 맘 처럼 안된다는 것 아닐까. 인사이드.. 더보기 진보정당 통합 움직임에 부쳐(2015년 8월 6일 대구신문) 진보정당 통합 움직임에 부쳐(대구신문 2015년 8월 6일) 며칠 전, 서울에서 사회복지사로 일하며 평소에 진보정당에 관심을 보여온 친구가 노동당 내부의 통합 찬성파와 탈당파들이 결성한 ‘진보 결집 더하기’ 홈페이지를 내게 보내며 진보정당 통합에 대해 의견을 물어왔다. 친구는 오랜 시간 진보정당들에 관심을 가져왔다가 근래 한 정당에 가입한 상황이었고, 주변의 친구들 가운데 진보정당에 나름 논문도 쓰고 얼뜨기 당원으로 오래 있었다는 이유로 내게 그런 물음을 던져왔다. 우선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제 6공화국 체제 이래 한국의 진보정당 역사에서 분립은 필패를 뜻해왔다. 진보정당이 원내에 진입했던 2004년의 경험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도입이라는 제도적 변수 이외에도 민주노동당이 가지고 있던 몇 가지 특징에.. 더보기 . 아무렇지 않은 세상의 아무렇지 않음에 화가 난다. 더보기 뿌리에게 뿌리에게 나희덕 깊은 곳에서 네가 나의 뿌리였을 때 나는 막 갈구어진 연한 흙이어서 너를 잘 기억할 수 있다 네 숨결 처음 대이던 그 자리에 더운 김이 오르고 밝은 피 뽑아 네게 흘려보내며 즐거움에 떨던 아, 나의 사랑을 먼우물 앞에서도 목마르던 나의 뿌리여 나를 뚫고 오르렴 눈부셔 잘 부스러지는 살이니 내 밝은 피에 즐겁게 발 적시며 뻗어 가려무나 척추를 휘어접고 더 넓게 뻗으면 그때마다 나는 착한 그릇이 되어 너를 감싸고, 불꽃같은 바람이 가슴을 두드려 세워도 네 뻗어 가는 끝을 하냥 축복하는 나는 어리석도고 은밀한 기쁨을 가졌어라 네가 타고 내려올수록 단단해지는 나의 살을 보아라 이제 거무스레 늙었으니 슬픔만 한 두릅 꿰어 있는 껍데기의 마지막 잔을 마셔다오 깊은 곳에서 네가 나의 뿌리였을때 내 가.. 더보기 충혼탑에서. 2015. 8. 5 대구 남구 대명동 충혼탑. 더보기 대학의 변화와 대학 문화의 변화 아래의 기사를 보고 개인적 경험을 보태어 생산함을 알립니다.http://m.nocutnews.co.kr/news/4452525 대학의 변화와 대학 문화의 변화 올해 봄이었나 작년 가을이었나, 학보사 정기 기고 하면서 대학언론의 위기 이야기를 하며 이런 이야기를 했었다.대학언론의 위기에는 한 사회의 고유하고 구분 가능한 하위 집단으로 '대학'의 소멸이 있다고. 과거 90년대 초중반 학번때 까지만 해도 분명하게 존재했던 대학과 대학생이라는 고유한 정체성이 문민정부 시기 대학설립준칙주의와 대학의 입학정원 허가제 폐지 등의 이유로 전체 학령인구의 절대 다수가 사실상 대학을 진학하게 되며 20대와 구분되지만 20대를 대표했던 대학, 대학생이랑 정체성이 강하게 희석되었다고 말이다.난 과거 한국의 민주화와 기타 사회.. 더보기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