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뇌피질의 낭비

학생회는 대리인이 아니다.

학생회는 대리인이 아니다.

최근 국 선언에 관해 인제대와 울산대에서 벌어진 일들은 상당히 주목할만한 경우이다. 두 곳 모두 총하갯ㅇ회는 공통적으로 학생들의 여론 수렴의 부족을 근거로 시국선언 참여를 거부했다. 물론 시국에 대한 인식과 접근, 입장에 차이는 있지만 이 두 대학의 총학은 모두 공통적으로 학내 여론 수렴의 문제를 거부의 이유로 들었다.

문득 예전의 두 사례가 생각난다. 하나는 내가 졸업한 학과의 일이다. 내가 졸업한지 좀 되어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가 터졌을 당시 난 아직 학과에 남아 있는 후배들에게 왜 영남대 사학과(아 나의 사학과는 죽고 역사학과라는 남이 거기 있더라..)는 왜 이 문제에 대해 대자보나 입장이 안나오냐고 물었다. 그런데 대답은 의외였다. 일부에서 이에 대해 학과 학생회의 참여를 촉구하였지만 당시 과 회장은(사실 누군지도 모른다 ㅜ 난 화석..) 전체 학생들의 의견이 수렴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 당면한 역사학계에 대한 모욕과 도발을 넘겼다.
이에 되게 비교되는 사례는 바로 2007년 대선 당시 내가 있던 문과대 학생회가 2007년, 2008년 집행부의 이름으로 권영길 당시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지지선언에 참여한 경우다. 우린 어떠한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았다. 그러면 우린 학생회를 과연 정파적으로 전유한 것인가? 아니다. 만약 우리가 학생회를 정파적 이해관계에 따라 전유한 것이라면 난 욕을 먹어도 싸겠지만 우린 학생회가 단순한 대리인, 대행자가 아니란 판단 하에 그렇게 일을 진행했다. 과거 전대협 이래 현재 한대련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전통적 학생운동의 흐름 속에서 학생회는 학생들을 대표하되 모든 학생들의 의견을 대리하는 곳은 아니었다. 자신들의 입장이 존재하였고 이 입장과 의지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대표했으며 학생들도 그런 학생회 집행부를 선출했다. 이는 일종의 리더십과 팰로우쉽 관계가 구축되었고, 학생회의 고유한 입장과 판단에 대한 재량권이 부여된 것이다. 고로 우리 07년 일촌맺기 학생회 집행부나 08년 참 학생히 집행부가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를 지지하였다 하여 우린 단과대 2800명의 정치적 의사를 박탈하거나 왜곡하였다고 보기 힘들다.

이는 민주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차이다. 대의 기구는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이해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구성된다. 즉 대의 기구 자체의 주체성, 의지가 존재하는 것이고 대중은 대의기구를 이를 바탕으로 선출하고 지지한다. 대중들 속에는 이 의지, 주체성의 내용에 반대하는 이들도 분명히 존재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입장과 의지의 차이가 입장이 다른 이들의 주체성에 대한 박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전체 학생들에 대한 여론수렴이란 논리는 왜 등장한 것일까? 이는 결국 학생회 더 나가 노동조합, 시민사회단체, 정당 정부 등을 대리자로 이해하는 데에서 연유한다. 즉 그 조직 자체의 의지, 주체성을 소거하고 구성원들의 개별적 의견 모두를 수용하고 따르는 역할로 학생회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는 학생회의 정치적 문으력, 무채깅ㅁ에 대핸 정당화 기제인 동시에 일부에 의한 전유를 근거로 공공성을 무력화 하는 시도이다. 그런데 어느새 이런식의 대리 논리가 팽배하다. 여기서 우린 민주주의가 '단지 모두의 이야길 듣는 것'이 아님을 인정해야 한다. 자신이 리더십을 부여받고 행사하는 위치에 있다면 때론 대중의 의지나 요구와는 다소 시간차가 있더라도 먼저 책임지고 치고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후에 평가받고 결과에 대해 책임 지면 되는 일이다. 이러한 구조 원리에 대해 진지하게 모색하고 고민하지 않기에 '여론수렴'같은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다. 안그래도 순식간에 지나가는 학생회의 타임테이블을 고려할때 여론 수렴하다가 아무것도 못하고 임기를 마무리 할 것이 자명한데도 여론 수렴을 핑계 대는 것은 그냥 하기 싫다는 것에 대한 우회적 선언이다. 그리고 이 대리 논리는 이런 정치적 무책임, 무능력, 면피를 정당화 하고 있다.


11월 1일오후 5시 30분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