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론의 장

호모 먹짤리아누스와 호모 있어벌리투스의 탄생 ​​호모 먹짤리아누스와 호모 있어벌리투스의 탄생 한때 SNS에 대해서 공론의 장 내지 헤게모니 구축을 위한 문화적 진지의 가능성을 이야기 한 적이 있었다. 그 이야길 주고 받는 우리에겐 PC 통신에서 출발해 다음 까페에 이르는 사이버스페이스사(史) 초반의 중산층 인텔리 청년 집단들이 이뤄낸 어떤 성과가 주는 잔상이 있었다. 그런 기대를 구태여 풀어 써본다면 그것은 집단지성이란 말이 드러내는 대중에 대한 신뢰, ICT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이버 민주주의와 그에 따른 직접적인 참여와 공론, 정보의 공개와 유통을 통한 대의제와 관료제의 보완, 숙의 민주주의에 대한 기대였다. 지금의 SNS는 정말 초기의 기대에 부응하는 공간일까? 단언컨대 지금의 SNS는 먹짤과 있어벌리티의 공간이고 먹짤과 있어벌리티, 소비주의.. 더보기
담론이 사라진 대학 담론이 사라진 대학(영대신문 2014년 9월 1일자 1602호 기고) 세월호 참사와 교황 프란치스코의 방한으로 이어진 2014년의 여름은 우리 정치, 사회의 여러 문제점들을 단적으로 드러내었다. 이윤 추구 의지에 파묻힌 무책임한 자본을, 규제개혁이란 이름으로 최소한의 장치들마저 풀어버린 정권의 무책임, 위기에 처한 이의 구조에 실패하고 세월호의 과적과 부당한 선박개조를 사전에 막지 못한 관료조직의 무능, 보도윤리를 상실한 언론의 현실, 타인의 고통을 외면하다 못해 그것을 폄훼하고 모욕하며 시민적 연대성을 잃어버린 대중의 모습, 시민적 연대성을 잃어버린 대중의 모습을 우리는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볼 수 있었다. 한국을 찾아온 교황의 모습과 행동에 대한 대중적 열광 역시 우리 사회의 공적 책임과 타자의 고통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