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뇌피질의 낭비

문제는 '섬'이 아니야

문제는 그 섬이 아니라 우리 세계에 있다.

여교사 윤간이 발생한 섬에 대한 폭격이 화끈하다. 한국에 정의의 사도가 이리도 많은데 이 땅은 왜이리 헬 조선인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언론은 사건이 발생한 섬에 대해 맹렬한 공습을 이어간다. 온갖 자극적인 이야기가 쏟아지는 개중에는 가해자들을 옹호, 두둔 하는 말들도 있고 피해자에 대한 공격도 담겨 있다.

난리다. 섬은 이전의 몇 가지 기억들과 조응하여 거대한 악의 성전이란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모든 문제는 마치 그곳이 '섬'이기에 일어난 문제인냥 치부 된다. 아 그래 이 사건에 섬이란 요소는 중요하다. 육지, 외부 세계와의 단절은 중요한 변수다.

그런데 우리가 그 섬을 때리는 여러 이유들이 과연 그 섬 만의 문제 일까? 그곳이 섬이었기에 이런 일이 셍겼을까? 가해자를 옹호하고 피해자를 공격한다고 비판하지만 이건 비단 섬이 아니라 우리 일상 곳곳에 산재 되어 있는 전형적인 피해자 인식이고, 여전히 전통적인 대면 사회, 향촌 사회의 '전통'이 작동하고 있는 것인데...

관계가 윤리에 선행하는 것, 혹은 그 관계의 룰이 윤리를 대체 하는 일은 흔하게 목도 된다. 저 멀리 조폭까지 안가더라도 친구니까 봐주는 것들 흔해 빠진 일들이다. 당장 내 남자 형제가, 친구가 이번 '섬'에서 터진 유형의 사건의 가해자일때 얼마나 많은 이들이 가해자인 자신의 친지들을 비판하고 공박할까? 감히 추측컨데 1할은 분노하고 3할은 수치스러워 하고 나머지는 대개 :그년이 꼬리 쳤지, 그년이 술에 취했지, 그년이 몸 간수를 못했지, 우리 XX는 죄가 없다"로 가해자를 옹호할 것이다. 그 섬에서 나왔다고 전해지는 말들은 그 '섬'의 고유한 정서와 관계의 산물이 일부 있다 하지만 동시에 우리의 흔해 빠진 피해자 인식, 가해자 인식 아니었던가.

때려야 할 대상은 사실 섬이 아니라 우리들 스스로인데. 우리는 그냥 우리의 흔해 빠진 일부를 때림으로써 우리의 도덕감을 증명하고 싶은건 아닐까. 한편 우리가 농어촌이나 섬, 산골 등 우리이지만 단절되고 소외되고 고립되어 타지화 되는 공감들을 우리가 발 딛는 이곳과 다른 어떤 음모와 판타지가 가득차고 주술적이고 미신적이며 동시에 특이하고 비정상적인 곳으로 소비하고 있지는 않은가? 이번 '섬'에 대한 사회적 공습은 여러가지를 생각케 한다.

사실 스스로에 대한 성찰 없이 우리 안의 단절된 일부를 공격하는 것은 그다지 도덕적이지 않다. 이건 거의 도덕을 팔아 정치적 자위행위로 밖에 귀결 되지 않는다. 이는 결국 그래서 섬에 여성 교원 안보내겠다는 교육부의 멍청함과 별 다르지 않다.

우리의 도덕감을 위해 그 섬을 때리지 말자. 우리의 분노와 도덕이 겨냥해야 하는 대상은 한낱 섬에 있지 않다. 그것을 자각하지 않는다면 세계의 변화는 요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