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뇌피질의 낭비

들리지 않는 당신들에게(대구신문 2015.11.1)

들리지 않는 당신들에게(대구신문 2015.11.1)



이시훈(영남대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 본색소사이어티 대표)






한 가족이 있다. 부부와 큰 딸, 작은 아들로 구성된 평범한 가족이다. 하지만 만약 이 가운데 딸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데, 다른 세 가족은 이 문제를 이해할 수가 없다. 문제를 호소하는 딸과 이해하지 못하는 세 가족은 갈등하고, 오해와 갈등이 조금씩 쌓여 간다. 사실 딸은 다른 가족들에게 없는 어떤 다른 감각이 존재한다. 이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다른 가족들에게는 딸은 그저 이해하기 힘든 존재일 뿐이다.

위의 글은 프랑스 영화 ‘미라클 벨리에’의 줄거리 얼개를 가족의 시점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미라클 벨리에’는 청각과 언어 장애를 가진 가족들을 둔 소녀인 폴라 벨리에가 가족과 사회의 의사소통 통로로 살아가던 중, 우연하게 만난 음악선생으로 인해 천부적인 음악 재능을 깨닫고 라디오 프랑스의 소년합창단에 들어가기 위해 겪는 이야기다. 사실 다른 감각을 지닌 폴라는 지극히 평범한 딸이지만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가족과 함께 있음으로 ‘특수한 존재’가 된다. 폴라의 가족들은 그녀가 노래를 부른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극 중 가장 인상적인 장면인 학교 음악 공연에서 폴라가 부르는 노래를 가족들이 듣는 모습은 어떠한 음향도 들어가지 않은 그야 말로 고요와 침묵으로 가득 차있었다. 자연히 노래를 하기 위해 먼 파리로 가겠다는 딸과 가족과 바깥을 잇는 통로로 평범하게 살길 바라는 가족 사이에는 대립과 갈등이 존재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아버지인 루돌프는 폴라와 가족들을 데리고 폴라를 오디션장으로 데리고 가고, 그곳에서 폴라는 자신의 천부적 자질로 노래를 부르며 곡의 내용을 수화로 표현하는 감동적인 장면을 연출하며 가족들은 화해하게 된다. 영원히 닿을 것 같지 않던 이 가족의 이야기는 들리지 않지만 들으려 하는 가족들의 결정으로 해피엔딩을 향해 반전된다. 공유될 수 없는 감각과 경험이지만 폴라의 가족들은 손과 마음으로 그 감각을 공유하려 애썼고, 극을 반전시키는 결정은 바로 그 노력 속에서 이뤄지게 된다. 한편 이런 벨리에 가족의 ‘서로 이해’의 과정에는 지금 우리 현실에 드러나는 세대 문제를 세대간 연대로 전환하기 위한 가장 기본 원리가 담겨 있다.

지금 한국의 청년세대는 해방 이후 그 어느 세대도 겪어보지 못한 사회경제적 체험을 하고 있는 세대다. 그들은 그 어느 세대보다 어린 시절부터 경쟁 논리를 내면화 해왔고, 실력 본위의 경쟁 사회에서 자기 삶을 구축하고, 상승시키기 위해 살아왔다. 하지만 전 세기말의 외환위기와 이어진 신자유주의 드라이브는 경쟁 그 자체만을 심화 시켰으며, 높은 대학 등록금과 실안적인 취업률과 부채에 고통 받으며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그런 와중에 나타난 ‘흙수저’와 ‘금수저’는 이런 시대에 대한 청년들의 자조를 읽을 수 있는 은어다. 이 수저의 논리는 다름 아니라 이런 사회경제적 조건 속에서 문화적, 지적, 사회적, 경제적 자본과 자원을 더 많이 가진 부모를 둔 자식이 성공할 가능성이 월등하다는 사실에 대한 조롱이다. 이는 그 어느 세대보다 경쟁논리를 내면화해왔고 믿어온 청년세대에겐 어떤 좌절감과 분노였다. 한편 ‘흙수저’처럼 ‘노오력’이란 말 역시 이런 현실에 대한 좌절과 분노와 맞물려 있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이 말은 ‘노력’으로부터 연원한다. 아니 더 정확히는 ‘노력’에 대한 자학이며 자조에 가깝다. ‘노오력’이 힘을 얻는 배경에는 역시 금수저, 흙수저와 같은 현실 조소가 존재한다. 동시에 이런 현상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단지 청년의 노력 문제만을 질타하는 기성세대에 대한 분노와 좌절감 역시 존재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과거 고도 성장기 노력과 가능성으로 현재를 일궈낸 기성세대와 자본은 청년들의 고단한 현실에 대해 ‘노력 부족’만을 이야기한다.

결국 청년세대가 경험하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결국 기성세대가 벨리에 가족처럼 인식과 이해의 진폭을 넓히려는 노력을 경주해야한다. 기존에 사물과 현상을 바라보던 방법만으로, 기존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던 방법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새로운 것이 나타났을 때는 그에 부합하는 방법과 시각을 가져야 한다. 고도 성장기, 각자도생의 논리와 노력의 개인화는 더 이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그 시대의 감각은 현재의 아픔과 주파수와 진폭이 맞지 않는다. 폴라의 아름다운 노래가 들리지 않는다 해서 노래가 없는 것이 아니다. 단지 노래를 듣는 폴라의 가족과 그녀 사이의 감각이 다를 뿐이다. 똑같이 기성의 감각에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그들의 겪는 고통이 모든 세대에 걸친 보편적인 그 또래의 것이 되는 것이 아니다. 결국 이 가진 기성세대가 기성의 감각과 경험에 갇히지 않고 현실의 청년들을 보고자, 듣고자 그리고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만이 세대 간 연대의 가장 밑바닥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밑바닥에서부터 이 고단한 ‘나만의 아픔’을 ‘우리의 것’으로 여기고 더 나아가 세대간 연대를 통해 넘어서는 미래의 가능성이 태동할 것이다.


원본 주소(http://www.idaegu.co.kr/news.php?code=op&mode=view&num=179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