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뇌피질의 낭비

섹시한 이미지, 낡은 축제

섹시한 이미지, 낡은 축제(영대신문 1605호2014년 10월 1일 발행)


 

  지금 대구 문화예술회관과 예술발전소에는 국내외 작가들이 참여한 대구사진비에날레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문화예술 회관의 주전시관에는 매우 인상적인 작품들이 많다. ‘기원 기억 패러디를 주제로 열린 이 주전시의 구성작품들은 그간 우리가 가져온 사진 세계를 짓뭉개버린다. 우선 눈에 들어오는 것은 방법적 전위성이다. 많은 작품들이 회화와 비디오아트, 설치미술, 사진이라는 작품 형태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은 기본이며, 사진의 전통적 문법조차 변주되고 해체하고 있었다. 사실 모두가 사진사인 이 시대에 직업사진 예술사진으로 사진의 의미에 대해 많은 물음이 제기되고 있고, 이번 비엔날레는 그에 대한 모색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비엔날레를 다녀오기 며칠 전, 다소 놀라운 사진을 몇 장 보게 되었다. 그것들은 9월에 열린 대동제 기간 자과 주막을 홍보하기 위해 몇몇 학과 학생들이 만든 포스터였다. 상이한 과 학생회에서 만들어진 포스터들은 놀랍도록 서로 닮아 있었다. 이것은 학과 전공의 공통성이나 주막 컨셉의 공통성도 아니었다. 그것은 바로 여성의 몸을 포스터의 이미지로 사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이다. 단순히 몸과 섹슈얼리티를 포스터의 이미지로 사용한 것은 그다지 특별하지 않은 것일지 모른다. 인간의 몸이 그 자체로 보여주는 미학이 존재하기도 하며 몸이 하나의 메시지나 이미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흔한 일이다. 그리고 여성의 몸을 드러내는 것은 때때로 권위적이고 억압저인 사회 문화에 대한 강력한 저항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포스터들은 모두 대상화된 여성의 몸을 중요한 이미지로 사용하고 있다. 포스터들에는 어떤 성적 환상을 자극하는 페티시즘이 투영되기도 하고, 여성의 특정한 신체 부위를 드러내기도 한다. 그리고 상당히 자극적인 문구로 자신들의 과 주막으로 오길 권고한다. 물론 노골적인 정도의 차이야 있지만 포스터의 이미지는 대구 도심의 유흥가 홍보 전단지의 맥락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중요한 사실은 이런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의 이미지가 대학 축제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숙명여대에서 제시된 축제 기간 의복 규정이 뜨거운 감자였다. 이 규정이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억압적이냐의 여부와 별개로 규정의 존재 자체는 축제에서 섹슈얼리티와 몸이 하나의 도구로 대상화된 것이 비단 이번 포스터를 만든 몇몇 학과만의 문제가 아님을 드러내고 있다. 하나의 문화적 해방구로 대학 축제를 바라봤던 전통적 이미지와 포스터가 드러내는 현재 대학 축제 사이에서 혼란과 고민이 생기는 지점이다.


  대구 사진 비엔날레에 전시된 사진들과 학과들의 축제 포스터는 유사한 문제적 현실에서 출발한다. 대구 사진 비엔날레는 주제적으론 사회적 기억이나 탈 식민주의적 담론, 전쟁과 여성을 이야기 하지만 주전시장의 사진들은 모두가 사진가가 될 수 있는 이 시대에 사진이 지닌 고유성, 예술성과 의미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답하고 있다. 비엔날레의 많은 사진들은 직업적인 작가들의 예술이란 이름하에 제시되는 난해하고 복잡한 기법, 현학적 주제에 머무르거나 지나치게 단순한 작품들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다양한 방법과 문법으로 보는 이에게 생각 하는 즐거움, 사진을 읽는 즐거움을 던지는 사진들이 주류를 이룬다.


  하지만 대학 축제 포스터가 보여주는 전망은 사진비엔날레의 그것과 대조된다. 대학 축제의 문제는 지난 칼럼에서 상술한바와 같이 대학 정체성과 대학 문화의 위기로부터 연유한다. 그리고 그 위기의 한 지점에 고교 졸업자의 절대 다수가 대학에 진학하는 현실이 있다. 진학 인구의 대폭적 증가는 대학 문화와 사회의 지배적 문화의 경계를 희석시켰고, 점차 사회의 지배적 문화가 대학 문화를 잠식했다. 정치적, 민주화의 진행과 권위주의의 약화, 대학생 저변의 확대는 자연스럽게 대학 축제가 발생적으로 갖고 있던 문화적 해방구의 성격을 약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축제의 의미가 약해졌다고 하여 축제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고 이러한 경향의 지속은 의미 자체가 휘발되어 버린 채 주막이라는 형식만 남은 지금의 축제로 이어졌다. 이제 학생들에게 축제는 그저 1년에 3일 유별나게 즐기는 날, 학교 안에서 술 먹는 날이지 하나의 문화적 해방구가 아니다. 그런 와중에 주막과 축제의 의미 보단 흥행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다.


  결국 문제의 포스터들은 의미가 사라져버린 채 생명력을 이어가는 낡은 축제를 상징한다. 많은 이들이 축제에 대해 회의할지라도 축제의 새로운 양식은 공적인 논의 무대에 올라오지 않는다. 사진이 스스로의 존재 의미와 양식을 찾기 위해 스스로를 변주하고 해체하는 동안 축제는 후배들의 몸을 성적으로 대상화 하면서 까지 머무른 채, 단순한 유희와 흥행의 잣대로만 사유된다. 이에 대한 공적인 물음과 고민이 필요하다. 우리 축제 이대로 괜찮은 것일까?